김용식 (191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용식은 1913년 경상남도 용남군 출생으로, 일본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1949년 외무부에 들어가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그는 주홍콩 영사, 주미국 대사, 외무부 장관, 국토통일원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평화상 기금 위원장을 마지막으로 공직에서 은퇴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 사법 부문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노재원
노재원은 1954년 고등고시 합격 후 외무부에서 다양한 요직을 거쳐 주영국 참사관, 주이란 및 주쿠웨이트 대사를 지냈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 경력이 있지만, 외무부 차관, 주캐나다 대사, 초대 주중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중 관계 발전에 기여한 외교관이다. - 캐나다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 필리핀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장지량 (1924년)
장지량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참모총장, 외교관, 대한중석광업 사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7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을 지내다 2015년에 사망했다. - 필리핀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최중경
최중경은 행정고시 합격 후 재정경제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쳐 장관까지 역임한 경제관료 출신으로, 공직 퇴임 후에는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기업 사외이사, 한미협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는 기업인이자 대학교수이다.
김용식 (191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김해 김씨 |
출생일 | 1913년 11월 11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통영군 충무읍 (현재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
사망일 | 1995년 3월 31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별칭 | 아호는 추정(秋汀), 일본식 이름은 가네모토 요키(金本溶植) |
학력 | |
학력 |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
학력 | 일본 주오 대학교 법학과 학사 |
경력 | |
직업 | 법조인, 외교관, 행정관료, 정치인, 사회기관단체인, 대한적십자사 총재 |
정당 | 무소속 |
직책 | 대한민국 외무부 사무차관 |
임기 | 1960년 8월 30일 ~ 1961년 5월 10일 |
대통령 | 윤보선 |
총리 | 장면 국무총리 |
장관 | 허정 외무부 장관, 정일형 외무부 장관 |
직책 | 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임기 | 1961년 7월 8일 ~ 1962년 8월 21일 |
군주 | 엘리자베스 2세 영국 군주 |
의장 | 장도영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
대통령 권한대행 | 송요찬, 백낙준, 박정희, 김현철 |
총리 | 장면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갑성 대한민국 내각수반 권한대행, 장도영 대한민국 내각수반, 송요찬 대한민국 내각수반, 백낙준 대한민국 내각수반 권한대행 서리, 박정희 대한민국 내각수반, 김현철 대한민국 내각수반 |
장관 | 정일형 외무부 장관, 김홍일 외무부 장관, 송요찬 외무부 장관, 최덕신 외무부 장관, 이원경 외무부 장관 직무대행 임시서리 |
차관 | 이수영 외무차관 직무대행 임시서리, 이수영 외무차관, 박동진 외무차관, 이원경 외무차관, 최문경 외무차관 |
직책 | 서울 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 |
임기 시작 | 1981년 11월 2일 |
임기 종료 | 1983년 7월 11일 |
후임 | 노태우 |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 후안 안토니오 Samaranch |
직책 | 주한 미국 대사 |
임기 시작 | 1977년 |
임기 종료 | 1981년 |
대통령 |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
전임 | 함병춘 |
후임 | 유병현 |
2. 생애
김용식은 1913년 경상남도 용남군에서 태어나 1937년 일본 중앙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했다. 그의 남동생은 한국 작가 김용익이다. 1949년 외무부에 들어가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외무부 장관(1962년, 1971년~1973년), 통일원 장관(1973년~1974년), 무임소 장관(1963년) 직을 역임했다.
홍콩 주재 총영사와 호놀룰루 영사를 시작으로 일본 주재 한국 대사관 공사(1951년~1957년), 프랑스 주재 한국 대사(1957년 5월 16일 ~ 1958년 9월 10일), 제네바 주재 한국 대표부 공사를 거쳐,[1] 영국 대사(1961년~1962년), 필리핀 대사(1962년~1963년), 유엔 대사 및 캐나다 대사(1964년~1970년), 미국 대사(1977년~1981년)를 역임했다.[2][3] 대한민국 대통령 외교 담당 특별 보좌관(1970년~1971년)도 역임했다.
외교관 퇴임 후 대한적십자사 총재, 해외동포 모국방문 촉진위원회 위원장,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잉여금으로 창설된 평화상 기금 위원장직을 마지막으로 공직에서 물러났다. 한국 전쟁 당시 부산으로 피난하여 경상남도 지사 관사를 이용한 대통령 관저에 기숙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회는 김용식을 친일파 명단 사법 부문에 등재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13년 경상남도 용남군에서 출생했으며, 1937년 일본 중앙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했다. 그의 남동생은 한국 작가 김용익이었다.2. 2. 외교관 경력
1949년 1월 외무부에 들어갔다.[7] 한국 전쟁 당시 부산으로 피난하여 경상남도 도지사 관사를 쓰던 대통령 관저에서 기거하였다.[7] 주 홍콩 영사, 주 호놀룰루 총영사를 맡았다. 1951년 2월, 주 호놀룰루 총영사였던 김용식은 하와이 교민 양유찬을 찾아가 이승만과 면담할 것을 통보했다. 이는 이승만이 양유찬을 주미대사로 임명하기 위한 것이었다.[8] 이후 주 일본 공사(1951년 12월~1957년 5월), 주 프랑스 공사(1957년~1959년), 주 제네바 공사, 주 유엔 대사, 주 영국 대사(1961년 7월~1962년 8월)를 역임했다. 주 영국 대사 재임 시, 사절단을 이끌고 그리스를 방문하여 그리스 외무장관 에반 로스 아베로프, 국방장관 죠지 테멜리스와 접견하고 그리스와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9] 주 필리핀 대사(1962년 8월~1963년 3월)[10], 외무부장관(1963년 3월~12월), 무임소장관(1963년 12월~1964년 5월), 재차 외무부장관(1971년 6월~1973년 12월), 국토통일원장관(1973년 12월~1974년 9월), 주 미국 대사(1977년 4월~1981년 6월)를 역임했다. 1977년 2월 23일,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는 한국 정부가 김용식을 신임 주미대사로 임명한 것은 미국의 카터 행정부와 새롭고 참신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한국 정부의 노력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11] 이 밖에도 대통령 외교담당 특별보좌관,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하였다.[12] 1988년 하계 올림픽 잉여금으로 만들어진 평화상기금 위원장직을 마지막으로 공직에서 은퇴하였다.[13]2. 3. 외교관 퇴임 이후
김용식은 외교관 퇴임 후 대한적십자사 총재, 해외동포 모국방문 촉진위원회 위원장,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위원회 위원장 직을 맡았다.[12] 1988년 하계 올림픽 잉여금으로 만들어진 평화상기금 위원장직을 마지막으로 공직에서 은퇴하였다.[13]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사법 부문에 선정되었다.
2. 4. 친일 논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회는 2008년에 김용식을 친일파 명단 사법 부문에 등재했다.2. 5. 가족 관계
김용식의 남동생은 한국 작가 김용익이다. 김용익은 1937년 도쿄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참조
[1]
웹사이트
Kim, Yong Shik
http://dodis.ch/P374[...]
[2]
뉴스
駐美大使 柳炳賢씨내정 (Yu Byung-hyun nominated as ambassador to U.S.)
http://newslibrary.n[...]
1981-05-15
[3]
뉴스
New ambassador chosen by Korea
https://news.google.[...]
1981-05-21
[4]
웹사이트
(1)김해 김씨(金海金氏)-4,124,934명
http://www.seoulecon[...]
2014-07-05
[5]
웹사이트
역대외교부장관
http://www.mofat.go.[...]
2007-08-15
[6]
웹사이트
이정석 칼럼: (19) 뒤숭숭한 한•미 관계
http://www.oranews.c[...]
2006-11-04
[7]
웹인용
이정석 칼럼: (19) 뒤숭숭한 한•미 관계
http://www.oranews.c[...]
오라뉴스
2007-10-24
[8]
뉴스
白髮의 證人, 元老와의 對話
http://dna.naver.com[...]
경향신문사
1972-06-30
[9]
뉴스
希臘과 外交樹立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1-07-12
[10]
뉴스
英... 李亨根 氏 比...金溶植 氏 兩大使交替發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2-08-18
[11]
뉴스
金溶植美大使 임명 韓美관계刷新 노력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77-02-24
[12]
웹사이트
외교통상부
http://sub.mofat.go.[...]
[13]
웹인용
이정석 칼럼: (19) 뒤숭숭한 한•미 관계
http://www.oranews.c[...]
오라뉴스
2007-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